반응형
정부 지원금을 알아보면 꼭 등장하는 숫자들,
“중위소득 100%, 150%, 180%…”
대체 이건 뭘 뜻하는 걸까요?
📌 ‘소득 기준’에 따라 지원 대상이 달라지는 제도에서
중위소득 150%, 180%는
바로 ‘가구당 월 소득 상한선’을 뜻합니다.
지금부터 중위소득 150%·180% 기준과 적용 사례를 쉽게 알려드릴게요!
📊 중위소득이란?
‘중위소득’이란 전 국민을 소득 순으로 나열했을 때
정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을 말합니다.
💡 쉽게 말해, 국민의 절반은 이보다 적게,
절반은 이보다 많이 번다는 기준점!
정부는 이 기준 중위소득을 매년 고시하며,
복지제도는 이 기준의 몇 퍼센트 이하인지로 지원 여부를 판단합니다.
📅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
가구원 수기준 중위소득 (100%)150% 기준180% 기준
1인 가구 | 2,120,000원 | 3,180,000원 | 3,816,000원 |
2인 가구 | 3,489,000원 | 5,233,500원 | 6,280,200원 |
3인 가구 | 4,494,000원 | 6,741,000원 | 8,089,200원 |
4인 가구 | 5,425,000원 | 8,137,500원 | 9,765,000원 |
5인 가구 | 6,280,000원 | 9,420,000원 | 11,304,000원 |
📌 출처: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발표 자료 (예시용)
🎯 중위소득 150% / 180% 기준 어디에 쓰이나요?
정부는 다양한 지원 제도의 신청 기준을
‘중위소득 몇 퍼센트 이하’로 설정합니다.
제도/사업기준예시 내용
아이돌봄서비스 | 150% 이하 | 시간당 본인부담금 감면 |
청년 월세 지원 | 180% 이하 | 최대 월 20만 원 지원 |
기초생활보장 생계급여 | 30~50% 이하 | 생계비 현금 지원 |
교육급여 | 약 50~60% 이하 | 급식비, 학용품비 지원 |
에너지 바우처 | 60~100% 이하 | 전기·가스·연료비 지원 |
🔍 꼭 기억하세요!
✔ 같은 제도라도 지자체별로 소득 기준이 다를 수 있어요.
✔ 실질 기준은 **‘소득인정액’**으로 산정되며,
단순 월급 외 재산·금융자산·차량 등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.
📝 내가 해당되나 확인하려면?
📌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‘모의계산’ 가능
👉 https://www.bokjiro.go.kr
📌 행정복지센터 상담 or 각 제도 공식 사이트에서
중위소득 퍼센트별 ‘신청 조건표’ 확인 가능
✅ 중위소득 기준 활용 팁
- 신청 전 가구원 수에 따라 기준 달라진다는 점 꼭 확인!
- 합산 소득이기 때문에 배우자·부양가족 소득도 포함됨
- 부채보다 재산이 많으면 감점 요소 될 수 있음
- 일부 제도는 청년 단독 가구, 맞벌이, 장애인 가구 등 별도 기준 적용
✨ 마무리
중위소득 150%, 180%는
그저 숫자가 아니라 정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중요한 기준선입니다.
“우리 가구는 어디까지 가능하지?”
한 번만 제대로 확인하면, 모르고 지나쳤던 각종 복지 지원금을
놓치지 않고 챙길 수 있어요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