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육아휴직 6+6 급여 총정리!

by docvn 2025. 7. 3.
반응형

요즘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아빠들이 늘면서 **'육아휴직 6+6 급여제도'**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. 이 제도는 맞벌이 부부 모두가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사용자의 급여를 인상해주는 제도인데요. 이번 글에서는 해당 제도의 핵심 내용부터 지원 조건, 실제 수령액 예시까지 쉽게 알려드릴게요.


📌 육아휴직 6+6 제도란?

‘육아휴직 6+6 제도’는 부부가 순차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할 경우 두 번째 사용자(주로 아빠)의 급여를 더 많이 주는 제도입니다.

  • 첫 3개월 급여: 통상임금의 100% (상한 300만 원)
  • 이후 9개월 급여: 통상임금의 80% (상한 150만 원)

단, 첫 번째 사용자는 기존 기준대로 지급되며, 두 번째 사용자의 앞 3개월 급여에 한해 상향 적용됩니다.


✅ 육아휴직 6+6 급여 지원 요건

육아휴직 6+6 급여를 받기 위해서는 아래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.

조건 항목내용
자녀 나이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
부부 순차 사용 부모가 순서대로 육아휴직을 써야 함 (동시 사용 불가)
고용보험 가입 육아휴직 개시일 전 180일 이상 가입 필요
사업장 근속 통상 1년 이상 근무 요건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
 

💰 육아휴직 6+6 급여 실제 수령 예시

예를 들어, 월 통상임금이 300만 원인 근로자가 육아휴직 1년을 사용할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.

  • 1~3개월 (100%): 월 300만 원 × 3개월 = 900만 원
  • 4~12개월 (80%): 월 240만 원(상한 150만 적용) × 9개월 = 최대 1,350만 원
  • 총액: 최대 2,250만 원

단, 실제 수령액은 개인 소득, 상한/하한 기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고용노동부 또는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정확한 계산을 권장합니다.


👶 육아휴직 6+6 급여 받는 팁

  • 부부 협의가 필수: 둘 다 사용할 계획이 있다면 순서를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.
  • 회사와 사전 협의 필수: 육아휴직은 근로자의 권리지만, 회사와의 원활한 소통이 중요합니다.
  • 소득대체율 높일 수 있는 시기 조율: 상한액을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급여가 높은 시기에 신청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
💡 마무리 – 적극 활용하세요!

육아휴직 6+6 급여제도는 가족의 삶의 질을 높이는 제도입니다.
특히 아빠의 육아참여를 유도해 더 균형 있는 가정생활을 가능하게 하죠.
정부가 마련한 혜택인 만큼, 조건만 맞는다면 꼭 활용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

반응형